기본적으로 리눅스에서 파일을 많이 열고 수정하게 됩니다.
그것에 대해 알아보도록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파일 정보 확인
아래와 같이 가장 기본적이고 많이 보게 되는 유형을 설명하겠습니다.
파일 2가지 유형으로 설명해보겠습니다.
첫번째 문자 의미
▷ d : 디렉토리
▷ - : 파일
두번째 문자들 의미
▷ rwxr-xr-x : 이 문자들은 각 파일들의 권한을 의미합니다. (3개씩 짤라서 해석하면 됩니다.)
rw-r--r-- r : 읽기, w : 쓰기, x : 실행하기
[소유자 권한] [그룹 권한] [그 밖 사용자 권한] 권한 이라는 글에서 자세한 설명 참조하겠습니다.
세번째 문자 의미
▷ 2,1 : 링크된 수를 의미합니다. (자주 볼 링크는 심볼릭 링크 라는 것입니다.)
명령으로 링크 파일을 만들 수 있습니다.
네번째 문자 의미
▷ root : 해당 파일을 소유한 사용자 (UID, User id 사용 식별자 라 합니다.)
다섯번째 문자 의미
▷ root : 해당 파일을 소유한 그룹 (GID, group id 그룹 식별자 라 합니다.)
특별한 변경이 없으면 소유자가 속한 그룹이 소유 그룹으로 지정됩니다.
UID, GID 를 합쳐 소유권 이라고 합니다. 이것 또한 권한 이라는 글에서 자세한 설명 참조하겠습니다.
여섯번째 문자 의미
▷ 6, 0 : 파일의 용량입니다.
일곱번째 문자 의미
▷ 10월 29 05:36 : 파일 생성 날짜, 시간을 의미합니다.
여덟번째 문자 의미
▷ F, Ff : 각 파일의 이름을 의미합니다.
○ 접속한 계정 확인
▷ 내가 어떤 계정으로 접속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어야 합니다.
▷ 리눅스는 다중 사용자 시스템이기 때문에 헷갈릴 수 있습니다.
▷ 또한, 리눅스에서는 su라는 명령어를 통해 쉽게 계정을 바꾸기 때문입니다.
▷ 계정에 따라 권한도 달라지므로 어떤 계정을 사용하는지 알아야 하고,
어느 계정이 접속했는지 확인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예시
기본적으로 root로 접속하여 들어가있는 상태입니다.
[로그인한 계정]@[컴퓨터명] [지금 있는 위치] 이렇게 나타내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root는 관리자의 계정이므로 #이 나타납니다.
# su - [계정명] 명령어를 통해 다른 계정으로 들어왔습니다. (사전에 계정을 미리 만들어두어야 가능)
로그인한 계정명이 user로 바뀐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일반 유저이기 때문에 $이 나타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