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에서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3가지 방법 : 소스파일 컴파일 설치
패키지 파일 설치
자동 설치 도구 이용
●3가지 방법 중 대세는 3번, 최고입니다.●
프로그램 하나가 작동할 때 필요한 모든 것들을 묶어 놓은 것을 패키지라 지칭합니다.
① 소스파일 컴파일 설치
▷ 유닉스의 전통적인 설치 방법
▷ 소스파일을 이용하여 직접 컴파일하여 사용하는 방법
▷ 아직 사용을 하지만, 번거로운 설치 방법
▷ 컴파일 과정을 이해못하면 의존성 등 여러가지 이유로 에러 발생
▷ 초보자한테 추천하지 않는 방법
② 패키지 파일 설치
▷ 컴파일 설치에 대한 불편함 때문에 패키지 파일 설치 방법을 고안
▷ 패키지 파일만 다운로드 하면 실행 명령만 하면 자동으로 설치
▷ 패키지 설치에 필요한 의존성 파일이 없으면 미리 설치를 해주어야 설치 가능
리눅스 계열에 따라 설치 명령어가 다릅니다.
→ 레드헷 계열 대표 CentOS : rpm (.rpm)
→ 데비안 계열 대표 Ubuntu : dpkg (.deb)
③ 자동 설치 도구 이용
▷ 패키지 설치에서는 패키지 파일을 다운로드 해야하지만, 자동 설치 도구는 필요없음
▷ 패키지 설치에서는 의존성 프로그램을 설치 해야하지만, 자동 설치 도구는 필요없음
예시) A를 설치하기위해서 B가 필요하다.
그러면 A를 설치 지시를 하면 B가 있는지 확인 후 없으면 B를 자동으로 먼저 설치 후 A를 설치
▷ 설치 대상을 명령어를 통해 입력하면 알아서 모두 설치
▷ 위처럼 가능한 것은 자동 설치 도구는 저장소라는 것이 존재
▷ 저장소는 인터넷상의 공간에 프로그램 패키지 파일을 모아 저장되어 존재
▷ 저장소 URL을 등록하면 그 등록한 저장소에 있는 패키지 파일을 이용해 설치 가능
(OS설치 시 OS에서 제공하는 기본 저장소 자동 등록되어 있을 거라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 단점은 저장소에 오래된 버전들이 있다면 직접 수동으로 다운 받아 설치해야 합니다.
리눅스 계열에 따라 명령어가 다릅니다.
→ 레드헷 계열 대표 CentOS : yum
→ 데비안 계열 대표 Ubuntu : apt-get
번외로 간단하게 wget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wget이라는 명령어가 리눅스에 존재합니다.
이 명령어도 위와 같이 파일을 다운로드가 필요한 경우에 자주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웹 페이지에서 어떤 링크를 클릭하여 다운을 받는 것과 같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유용하니 이 부분도 잘 숙지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다음 글에서는 레드헷 계열인 CentOS가 사용하는 패키지 명령어 RPM, YUM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wget 명령어 사용법은 다음글에 패키지와 같이 기재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