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헷 계열 대표 CentOS에서 패키지를 설치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YUM이 나오기 전에 RPM을 대부분 사용했습니다.
지금은 YUM을 많이 사용합니다. 훨씬 편리합니다.
그러나 YUM뿐 아니라 RPM도 꼭 배워야 합니다. (이유는 YUM설명에서 하겠습니다.)
○ RPM
▷ Redhat Package Manager
▷ 확장자명 *.rpm
▷ 의존성 때문에 조금 불편할 수 있음 (이전글을 보시면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 리눅스 설치 시 iso파일에 기본적으로 대부분의 패키지들이 존재
▷ 패키지만 있으면 설치 가능, 인터넷 유무 상관없음
● RPM 명령어 사용법 & 옵션 종류
# rpm [필수옵션 + 부가옵션] [패키지명]
# rpm -ivh [패키지명] : 설치 시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 rpm -qa | grep [패키지명] : 패키지 설치 확인 시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grep명령어와 함께 사용)
# rpm -ql [패키지명] : 설치 된 패키지의 경로, 파일 출력
옵션 종류 (찾아보시면 더 많이 있습니다.)
필수 옵션
▷ -i(install) : 설치 (보통 -ivh로 사용)
▷ -q(query) : 설치된 패키지 확인 (보통 -qa로 사용)
▷ -U(Upgrade) : 업그레이드 (보통 -Uvh로 사용) / 대문자 주의
▷ -e(erase) : 삭제 (보통 -evh로 사용)
부가 옵션
▷ v(verbose) : 설치 시 상세 내용 출력
▷ h(hash) : 설치 시 progress를 #으로 표시
▷ l(list) : 패키지에 포함되어 있는 파일들 리스트 형태로 출력
▷ --nodeps : 의존성을 무시하고 설치 (정상 동작 하지 않을 수도 있음)
▷ --force : 강제로 설치 (정상 동작 하지 않을 수도 있음)
○ YUM
▷ Yellowdog Updater Modified
▷ 의존성 문제 없음
▷ 특정패키지를 설치하고자 하면 의존성있는 패키지부터 먼저 설치
▷ 패키지가 없어도 설치가 가능하지만 인터넷을 통해 다운하고 설치하기 때문에 인터넷이 필요
▷ 패키지 삭제시 의존성 패키지들도 같이 삭제
▷ RPM에 비해 설치와 삭제시 정말 편하지만, 다른 수 많은 기능들이 YUM에 없음
(예를 들면 패키지 안의 파일들 정보, 검사, 확인 같은 세부 기능을 사용할 때 RPM 사용)
● YUM 명령어 사용법 & 옵션 종류
# yum [옵션] [명령] [패키지명]
# yum -y install [패키지명] : 설치 시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 yum list | grep [패키지명] : 패키지 이름이 포함되어 있는 패키지 검색
# yum list installed | grep [패키지명] : 패키지 설치 확인
옵션 종류 (찾아보시면 더 많이 있습니다.)
yum으로 패키지 설치 명령을 했는데 의존성 패키지를 설치해야한다면,
의존성 패키지를 찾았는데 설치를 할것인지 물어봅니다.
▷ - y(yes) : 모든 질문에 대답을 "예"로 한다. (묻는 과정 없이 설치하라는 뜻)
▷ - v(verbose) : rpm과 마찬가지로 설치 과정 상세히 본다는 뜻
명령 종류 (찾아보시면 더 많이 있습니다.)
yum은 rpm과 다르게 '-'하이푼을 사용하지 않고 명령을 합니다.
▷ install : 설치
▷ remove : 삭제
▷ info : 정보 확인
▷ search : 패키지 장소 검색
▷ check-update : 업데이트 패키지 확인 (뒤에 패키지 이름을 붙이지 않으면 전체 확인)
▷ update : 업데이트 (뒤에 패키지 이름을 붙이지 않으면 전체 업데이트)
● YUM 저장소
▷ 저장소 파일에 URL 정보가 담겨있다.
▷ 그 URL을 통해 yum이 패키지를 다운로드 한다.
▷ /etc/yum.repos.d 에 yum저장소 파일이 있다. (파일이름.repo 형식으로)
저장소에 오래된 버전이 올라가 있는 경우 & 가끔 패키지가 없는 경우 패키지 설치
▷ remi 저장소는 epel 저장소 의존성 있어서 먼저 epel설치해야함.
▷ # yum -y install epel-release 명령어로 epel 저장소 설치
▷ epel 저장소란?
확장된 패키지 저장소 (기존에 없는 패키지들이 저장되어 있음)
▷ remi 저장소란?
최신 버전의 패키지가 저장되어 있지만 yum으로 설치가 불가
OS 버전별 패키지를 인터넷 검색으로 rpm파일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 해야함
○ wget
▷ wget이라는 명령어가 리눅스에 존재
▷ (World Wirde) Web Get의 약자로 웹 상의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때 사용하는 명령어
▷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는 기능을 수행
▷ 비상호작용 네트워크 다운로드 프로그램
▷ HTTP, HTTPS, F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다운로드 받음
▷ 네트워크가 불안정하고 느린 환경에도 잘 작동함
▷ 네트워크가 끊기는 경우에도 끊긴 시점부터 재연결하여 다운로드 받는 기능도 존재
● 사용법
# wget [옵션] [URL]
위 처럼 명령어를 사용하기 이전에 wget이라는 명령어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 yum -y install wget 명령어로 wget을 설치해줍니다.
옵션들이 매우 다양합니다.
요새 사용하는 옵션만 기재하도록 하겠습니다.
-c : 중단 된 파일을 다시 이어받기
-o : 해당 이름으로 다운받아 저장
# wget -o [저장하고 싶은 파일명.확장자] [URL] 이렇게 사용하시면 됩니다.
(꼭 파일을 받는 확장자를 붙여주셔야 합니다. .rpm이라던지, .txt이라던지)
인터넷에서 다운로드 하시고 싶은 URL을 눌러 복사해서 명령어 URL자리에 붙여넣기 하시면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