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Linux] 네트워크 관련 용어 (+VMware설치용어) & Run level

by 떵해이 2020. 11. 21.
300x250

리눅스에서 사용 가능한 프로토콜 /etc/protocols 파일을 보시면 확인 가능

TCP 또 는 UDP에 의해 전송 가능한 네트워크 서비스들은 /etc/services 파일을 보시면 확인 가능

 

네트워크 목록에서 더 자세한 설명을 할 예정입니다.

아주 간단하게 설명할 예정입니다.

여기서는 리눅스를 사용하는데 지장없이 개략적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 네트워크 관련 용어

    ▷ 프로토콜(protocol) : 통신규약, 네트워크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여러 가지 통신 약속을 뜻

 

    ▷ TCP : 신뢰할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

 

    ▷ UDP : 신뢰할 수 없는 통신 프로토콜

 

    ▷ IPv4 : 32비트, 컴퓨터에 부여할 네트워크 주소에 대한 약속 (보통 이걸 공부합니다.)

        IPv6 : 128비트, 컴퓨터에 부여할 네트워크 주소에 대한 약속

 

    ▷ port : 포트, 네트워크 서비스가 사용하기 위한 논리적인 통로 번호

                포트 관련 자세한 사항은 it-serial.tistory.com/6 참조하시면 됩니다.

 

    ▷ ping : 네트워크 통신이 잘되는 지 확인하는 명령어 입니다.

 

 

    ▷ IP : ip address, 네트워크를 이용하기 위한 컴퓨터에 부여된 고유의 네트워크 주소

 

    ▷ 공인 IP : ISP에서 부여한 IP 주소

        사설 IP : 내부 네트워크 통신망에서 사용 가능한 IP 주소 (대부분 공유기 생각하시면 됩니다.)

 

    ▷ IP 할당 : DHCP(동적) - 서버에 의해 자동으로 IP 주소를 할당

                    static(정적) - IP 주소를 직접 할당

 

    ▷ Gateway : 게이트웨이, 현재 네트워크 그룹에 존재하는 라우터에 부여된 IP 주소

                     쉽게 말해 다른 네트워크랑 통신하기 위한 출구

 

    ▷ Router : 라우터,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여러 그룹을 연결시켜주는 통신 장비

                   gateway와 처음에 굉장히 혼돈스럽지만 공부하다보면 자세히 알게됩니다.

 

    ▷ DNS : IP가 네트워크 주소이지만 주소를 외우기 어려워서 쉬운 주소로 바꾼 것이라고 생각

                DNS 관련하여 자세하게 it-serial.tistory.com/8 참조하시면 됩니다.

                쉽게 말해 우리는 223.130.195.95 이걸 치지않고 www.naver.com을 통해 접속한다.

                실제 주소는 숫자이지만 우린 네이버를 치고 들어가는 것은 DNS서버 덕분이다.

 

Vmware설치하면서 나오는 용어들

 

    ▷ Bridge : 브릿지, 실제 공인IP를 가져서 다른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실제 컴퓨터와 똑같이 사용 가능하다고 생각하면 됨

 

    ▷ NAT : Network Address Translation, 네트워크 주소 변환이라고 합니다.

                사설 네트워크라고도 하고, 임의의 IP를 줘서 사용하는 것입니다.

                원래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지만, Host(Vmware를 구동하고 있는 원래 컴퓨터)를 통해

                외부로 통신이 가능한 원리입니다. (인터넷을 가능하게 할 수 있습니다.)

 

                와이파이(공유기)랑 똑같습니다.

                공유기는 사설 네트워크를 구축해서 접속하는 사람들에게 사설IP를 줍니다.

                그 사설IP를 사용하고 개개인이 인터넷을 사용하면 공유기의 공인IP로 바꿔줍니다.

                그래서 동시에 와이파이를 사용하면 속도가 느린 이유입니다.

                여기서 공유기는 라우터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보통 Vmware에서 연결할 때 NAT을 사용합니다.

 

    ▷ Host-in : 단어 뜻 똑같이 Host는 Vmware를 구동하고 있는 컴퓨터를 말합니다.

                    그 컴퓨터 안에서만 통신을 하겠다는 뜻이므로 밖으로 인터넷은 안됩니다.

                    통신과 네트워크는 다릅니다.

 

                    Vmware안에 여러개를 만들어서 같은 대역의 IP로 설정을 하면 그 안에서는

                   통신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밖으로 나가는 네트워크는 안됩니다.

 

                    쉽게 말해 게임에서도 배틀넷에 들어가면 사람들과 할 수 있습니다.

                    근데 같은 네트워크 대역안에서 워크래프트 LAN모드나

                    스타크래프트 같은 경우 IPX나 UDP로 같이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배틀넷이 네트워크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 I/O : input과 output 입출력을 뜻합니다.

 

    ▷ SCSI :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디스크 타입 중 하나

                보통 서버에서 이것을 사용합니다.

 

    ▷ IDE : Intergrated Drive Electronics, ATA라고도 불립니다. 디스크 타입 중 하나

               병렬형 ATA를 가리킵니다. (=PATA)

 

    ▷ SATA : Serial Advanced Technolohy Attachment, 직렬형 ATA를 가리킵니다.

                 디스크 타입 중 하나


○ Run Level (런 레벨)

    ▷ 리눅스 시스템 관리의 편리를 위하여 서비스의 실행을 단계별로 구분하여 적용하는 것

 

    ▷ 0~6 까지 존재, /etc/inittab 파일에서 변경가능

 

※ CentOS 7버전 부터 target 형식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습니다.

 

# init 0 = 종료    ->    poweroff.target

# init 1 = 시스템 복원 모드, 윈도우 운영체제의 안전 모드랑 비슷   ->   rescue.target

# init 2 = 네트워크 연결X, 다중 사용자    ->    multi user mode

# init 3 = 네트워크 연결O, 다중 사용자(CLI 다중 사용자 모드, 그래픽 지원X) -> Full multi user.target

# init 4 = 임의로 정의해서 사용할 수 있는 레벨  -> unused

# init 5 = 네트워크 연결O, 다중 사용자(GUI 다중 사용자 모드, 그래픽 지원O) -> graphical.target

# init 6 = 재부팅    ->    reboot.target

 

    ▷ 기본 target 변경

        # systemctl set-default [사용할 target]

 

    ▷ 기본 target 확인

        # systemctl get-default

       

    ▷ 런 레벨을 어디 사용하는가 ?

 

        대표적으로 CLI환경 이신분들이 GUI로 바꿀 때 자주 사용합니다.

        it-serial.tistory.com/41 참조하시면 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