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윈도우에 GUI 가 특화되어 있고, 리눅스는 TUI 또 는 CLI에 특화된 운영체제다.
○ CLI 란 ?
▷ Command Line Interface
▷ 명령어를 줄로 입력하여 소통(상호 작용)한다 라는 뜻을 가집니다.
▷ 운영체제안에 있는 쉘이 가지고 있는 특정 명령어를 통해 운영체제를 컨트롤 합니다.
▷ 윈도우에 'cmd' 나 리눅스에 '터미널'이 대표적이다.
▷ 키보드 + 명령어 사용 가능
○ TUI 란 ?
▷ Text User Interface
▷ 글로 사용자가 소통(상호 작용)을 한다 라는 뜻을 가집니다.
▷ 리눅스 안에 'vi(vim) 편집기'가 대표적입니다.
▷ CLI와 비슷하지만 다릅니다. 명령어를 사용해도 전혀 안됩니다.
메모장과 비슷합니다. 메모장과 다른점은 키보드로만 컨트롤 할 수 있습니다.
▷ 키보드만 사용 가능
○ GUI 란 ?
▷ Graphic User Interface
▷ 그래픽으로 사용자가 소통(상호 작용)을 한다 라는 뜻을 가집니다.
▷ 키보드 + 마우스 모두 사용 가능
▷ 한 눈에 보이고 제일 편합니다.
※ 제일 편한데 왜 GUI를 리눅스에서는 잘 쓰지 않을까 ? 리눅스를 왜 쓸까 ?
- 보통 리눅스를 서버용으로 CLI환경을 많이 사용합니다.
그래픽으로 사용하면 자원을 많이 잡아먹어 부하가 많이 걸리기 때문입니다.
- 실제 회사에서 리눅스가 서버로도 좋지만 무료이기 때문에 많이 사용합니다.
- 리눅스가 윈도우에 비해 되게 가볍고, 빠르고, 안정성이 높다고 합니다.
○ CLI → GUI 로 바꾸는 법
이 방법은 나중에 인터넷에서 다운로드를 받거나 할 때 불편한 상황에서 간단하게 바꿔
사용하기 위해 사용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하기 전 알아야 할 용어들이 있습니다.
런 레벨 (Run Level) : init 데몬에 의해 수행하게 되는 시스템 설정 모드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 init 0 : 시스템 종료
- init 1 : 단일 사용자 모드
- init 2 : 네트워크 지원 X, 다중 사용자 모드
- init 3 : 네트워크 지원 O, 다중 사용자 모드 = TUI
- init 4 : 사용자 지정 레벨 (사용하지 않는 레벨)
- init 5 : X-window 사용하는 다중 사용자 모드 = GUI
- init 6 : 시스템 재부팅 = reboot
※ X-window는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GUI를 말함
이제 CLI에서 GUI로 바꿔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용자는 root로 하시면 됩니다.
① # yum -y groupinstall "GNOME Desktop" "Graphical Administration Tools"

명령어로 -y로 설치 모두 yes선택, groupinstall로 그룹에 있는 모든 패키지를 다운
무료 오픈 소스 데스크톱 GUI환경 패키지 + 그래픽 관리 도구 패키지 다운
(설치 하는데 시간이 5분 정도 걸립니다.)
② 설치가 완료되면 Complete! 라는 문구가 뜹니다.

③ # ln -sf /lib/systemd/system/runlevel5.target /etc/systemd/system/default.target

ln 파일 링크를 생성
-s는 링크할 원본이 심볼릭 링크된 파일이면 그 파일을 링크
-f는 링크 생성할 대상 파일이 있어도 강제로 새로운 링크 생성
이 명령어로 그래픽 모드인 런레벨5를 default(기본)으로 변경
④ 이제 런레벨이 그래픽 모드로 잘 변경되었는지 확인합니다.
# systemctl get-default 명령어로 기본 설정되어있는 모드를 확인합니다.
graphical.target으로 바뀌었으면 잘되었습니다.

⑤ 이제 재부팅하면 CLI에서 GUI로 바뀔 것입니다.
# reboot 또 는 # init 6 하시면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