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에 원격 접속하는 방법
○ telnet
▷ 기본적(default)로 23번 포트 사용
▷ ssh와 ftp의 비해서 보안성이 매우 좋지 않음
▷ 다른 서비스의 비해 윈도우에서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음
▷ 정말 급한 상황에서 사용하고, 왠만하면 사용하지 않음
▷ 일반적으로 root접속 제한 (일반 사용자를 통한 접속)
▷ su- 명령을 통해 관리자 권한을 획득 후 시스템 관리 작업을 할 수 있음
▷ 보안이 안좋기 때문에 권장하지 않은 서비스
▷ 윈도우에서는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기능
● telnet 설치
리눅스 내에서 패키지를 설치를 해야합니다.
telnet을 이요하려면 의존성 패키지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yum으로 설치하여
의존성 패키지도 모두 설치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 rpm -qa | grep telnet
설치가 되어 있는지 한번 확인해줍니다.
# yum -y install telnet*
telnet 관련된 패키지를 설치해줍니다.
Complete! 라는 문구가 나오면 설치가 완료된 것입니다.
● 방화벽 설정 (port 추가)
설치를 완료했으니 telnet이 사용하는 포트(23)를 방화벽에서 추가해주도록 하겠습니다.
#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23/tcp 23번 포트 tcp 프로토콜로 방화벽에 추가
# firewall-cmd --reload 설정한 내용을 적용시킵니다.
● telnet 서비스 실행
# systemctl start telnet.socket
telnet 서비스를 실행시킵니다.
# systemctl status telnet.socket
telnet 서비스가 잘 작동하고 있는 확인해보도록 합니다.
active 동작하고 있는 상태, inactive 동작하고 있지 않는 상태
● 윈도우에서 리눅스로 telnet 접속
윈도우는 telnet이 기본적으로 설정이 되어있습니다.
리눅스에서는 yum으로 설치를 했습니다.
이제 윈도우에서 리눅스로 접속하기 전에 telnet서비스를 활성화 시켜야 합니다.
윈도우 제어판 -> 프로그램(추가/제거) 접속
프로그램 및 기능안에서 Windows 기능 켜기/끄기 -> 텔넷 클라이언트를 체크해주시면 됩니다.
또는 # 윈도우 키 + R 눌러 실행창을 시킨 뒤
# appwiz.cpl 입력하여 실행시켜 Windows 기능 켜기/끄기로 들어가실 수 있습니다.
# 윈도우 키 + R 을 통해 실행창을 실행시켜 # cmd 를 입력하고 확인을 누릅니다.
# telnet [서버 IP]
cmd 프롬프트 창에 서버 IP를 입력하여 접속을 하면 로그인 할 계정을 입력하라고 나옵니다.
telnet은 root접속을 기본적으로 제한하기 때문에 /etc/passwd에 등록된 유저로 접속해야 합니다.
root로 접속을 하게되면 접속이 끊어집니다.
일반 계정으로 접속 후 su - 명령을 통해 루트 계정으로 접근하셔야 합니다.
telnet 서비스는 평문으로 작업되기 때문에 회사에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주로 암호화가 되어있는 SSH를 통해 사용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