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파일 설명에 앞서 아래와 그림같이 로그인하면 보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 [사용자 계정]@[호스트 네임] [내가 있는 위치] 입니다. (참고: ~은 /home입니다.)
hostname 설정
CentOS 7 이전 버전에는 # /etc/sysconfig/network 파일에 HOSTNAME= 을 기록했는데 버전 7부터 바뀌었습니다.
먼저 # hostname 명령어를 입력하시면 설정되어 있는 hostname이 나오는 걸 확인합니다.
보통 CentOS를 처음 시작하면 hostname이 localhost로 저장됩니다.
관리해야 할 서버가 한대라면 상관없지만 여러대를 관리한다면 서버별로 hostname을 지정해주는것이 좋습니다.
hostname을 변경하는 방법이 두가지가 있습니다.
○ 첫번째 방법 ○
# vi /etc/hostname 명령어로 입력 후 hostname을 삭제 후 사용할 호스트명을 입력합니다.
※ 삭제는 DD누르시면 vi 에서 줄 삭제 가능합니다.
사용할 호스트명을 입력 후 # :wq 저장 후 나가줍니다. 저는 LinuxServer로 해보겠습니다.
# reboot 명령어로 설정을 마치셨으면 재부팅을 해주도록 하겠습니다.
재부팅하시고 # hostname으로 바뀐걸 확인합니다.
○ 두번째 방법 ○
이번에는 명령어로 바꾸는 방법을 해보겠습니다. 위의 실험이 끝난 지금 hostname은 LinuxServer입니다.
# hostnamectl set-hostname LinuxS1
# hostname으로 변경한 설정이 잘 되었는지 확인 후 서버를 재시작(# reboot)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설정이 변경이 되었는데 이상한 점이 하나 발생합니다.
명령어로 바꾸게 되면 대문자가 모두 소문자로 변경되어 저장이 됩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해서 다시 설정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존에 명령어에 --static이라는 옵션을 넣고 한번 더 입력해줍니다.
# hostnamectl set-hostname LinuxS1 --static
그리고 # hostname 으로 확인 후 재부팅을 # reboot 해줍니다.
다시 접속해보면 완벽하게 대문자까지 바뀌어있습니다. 편하신 방법으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