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3 [Linux] 리눅스 파일 시스템 & 구조 ① ● 목 차 ● 1. 파일 시스템 & 구조 ① 2. 마운트 과정 (마운트 개념 & 디스크 추가) ② 3. 마운트 과정 (파티션 나누기 & fdisk 명령어) ③ 4. 파일 시스템 포맷(mkfs, mke2fs) & mount명령어 ④ 5. df 명령어 & 마운트 자동 등록(fstab) & UUID란? ⑤ 리눅스의 파일 시스템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리눅스의 파일시스템 구조를 개략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디렉토리 구조도 it-serial.tistory.com/19 참조하시면 됩니다. ○ 리눅스 파일 시스템 구조 ▷ 부트 블록 : 운영체제를 메모리에 올리는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이 있는 영역 ▷ 슈퍼 블록 : 파일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영역 ▷ I-node 리스트 : i-node를 모아놓은 영역.. 2020. 11. 26. [Linux] 리눅스 파일 수정 (vi/vim 기능) & vi 필수 명령어 Vi & VIM 이 다른것인가? 같은것인가? VIM은 Vi IMproved의 약자 입니다. vi에디터를 업그레이드 시킨 것이 vim에디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vi는 텍스트 편집에 필요한 최소한의 기능만을 가지고 있어서 사용하기 불편합니다. 문법 강조 기능도 없습니다. vim은 강력한 기능들이 많이 추가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편리합니다. 리눅스에는 vim에디터만 설치되어 있습니다. vi라고 쳐도 vim이라고 쳐도 vim으로 실행됩니다. 결론 둘 다 똑같습니다. 리눅스에서 설정하고 공부할 때 가장 많이 쓰이는 거라고 말할 수 있는 파일 편집에 대해 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vi 편집기 구조 vi 편집기는 명령 모드, 입력 모드, 마지막 행 모드로 총 3가지 모드가 있습니다. ① 명령 모드 : 처음 vi.. 2020. 10. 31. [Linux] 리눅스 구성 & 파일 종류와 디렉토리 구조 ○ 리눅스 파일의 종류 ▷ 일반 파일 (-) - 일반 파일은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주로 사용 - 각종 텍스트 파일, 실행파일, 이미지 파일 등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파일은 일반 파일입니다. - 실행 또는 이미지 파일 같은 경우 데이터가 바이너리 형태로 저장되어 바이너리 파일이라고도 합니다. - 실행 파일 or 이미지 파일의 경우 데이터가 바이너리(이진) 형태로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텍스트 파일 읽을 때 처럼 vi나 cat 명령어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예시 한번씩 확인해보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아래 화면처럼 제가 2개의 표본을 들고왔습니다. /bin 파일안에 있는 mount, yum입니다. 둘 다 '-'로 일반 파일 형태 입니다. 둘 다 명령어로 사용하는 일반 파일입니다. mount는 붉은 색을 띄.. 2020. 10. 2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