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축3

[Linux] FTP 구축(vsftpd) & 윈도우 cmd로 FTP 접속 ② ○ FTP 구축 (서버쪽) 이전 글에서 미리 언급하였듯이 서버쪽에 FTP를 구축하고 FTP를 사용하는 쪽도 FTP 접속 프로그램 설치가 필요합니다. ① 먼저 vsftpd 패키지 확인 & 설치 ※ vsftpd (Very Secure FTP server Daemon의 약자) # rpm -qa | grep vsftpd 명령으로 vsftpd 패키지 확인 # yum -y install vsftpd 명령으로 vsftpd 패키지 설치 Complete! 문구가 뜨면 패키지 설치 성공 ② 방화벽 해제 & 서비스 추가 #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20,21}/tcp 명령으로 20, 21포트 tcp로 추가 #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ft.. 2020. 12. 29.
[Linux] 파일 송신/수신 서비스 FTP 개념 & 종류 ① CentOS 7, 그래픽 환경 GUI, root(관리자)계정으로 실행하였습니다. ● 목 차 ● 1. FTP 개념 & 종류 & FTP 모드 ① 2. FTP 구축 (vsftpd) & 윈도우에서 'cmd' 와 '탐색기' 로 FTP 접속(+기본 명령어) ② 3. 윈도우에서 cmd로 FTP 파일 업로드/다운 & 윈도우에서 탐색기로 FTP 접속 ③ 4. FTP 설정 파일 분석 & 설정 파일 추가 옵션 ④ 5. filezilla (파일질라) 설치 & WinSCP 설치 & 알FTP 설치 ⑤ ○ FTP 란? ▷ File Transfer Protocol TCP/IP 환경에서 파일 전송 프로토콜의 약자 ▷ 특수한 TFTP를 제외한 FTP는 TCP만을 사용 ▷ 파일을 옮기는 용도로 보통 사용 (VMware에서 외부로 빼낼 때.. 2020. 12. 28.
[Linux] NFS 서버 개념 & 구축(설치) 디스크 용량이 지금 현대시대에는 부족한 현상이 거의 없습니다. 옛날에는 서버하나만 구축해도 많은 공간을 차지하여 클라이언트들은 여유 공간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개발한 것이 클라이언트가 서버의 공간을 자신의 자원처럼 사용이 가능하게 만들었습니다. 쉽게 말해 저장 공간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가 NFS 입니다. 리눅스 - 윈도우 파일 서버 구축 : Samba 리눅스 - 리눅스 파일 서버 구축 : NFS 윈도우 - 윈도우 파일 서버 구축 : CIFS ○ NFS 서버란 ? ▷ Network File System 약자 ▷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의 하드 디스크를 내 컴퓨터의 하드처럼 사용하는 것 ▷ 네트워크에 연결된 리눅스끼리 NFS를 통해 파일을 공유 가능 ▷ 공통으로 사용되는 파일이 있으면 .. 2020. 12.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