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3 [Linux] ACL 개념 & 설정법(setfacl, getfacl) 리눅스는 대체적으로 서버로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서버로 활용되면 보안을 철저히 해야합니다. 간단하지만 리눅스 서버 보안 관련하여 ACL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 ACL이란 ? ▷ Access Control List 의 약자 ▷ 접근 제어 목록을 설정하는 것 ▷ ACL은 파일과 디렉토리의 확장 속성 중 하나 ▷ chmod 명령어보다 더 다양한 권한에 대해 수행 할 수 있음 chmod 권한 명령어로 user, group, other 이란 한정된 영역에 권한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ACL을 사용하게 되면 user, group, other 권한을 건드리지 않고 특정 사용자에게 권한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etc/passwd란 파일의 권한은 rw- r-- r-- (644) 입니다. 그러면.. 2020. 12. 6. [Linux] 기본적인 파일 관련 명령어 필수적으로 꼭 알아야하고 자주 사용하는 파일 관련 명령어 정리 옵션들이 찾아보면 많이 있지만 자주 사용하는 옵션들만 정리 터미널을 시작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로그인계정] @ [컴퓨터명(호스트네임)] [현재 디렉토리] # 이렇게 보시면 됩니다. (#은 관리자, $일반계정) 참고로 ~은 사용자계정의 홈디렉토리 입니다. ○ 디렉토리 이동 cd # cd 변경할 디렉토리명 : 디렉토리 이동하는 명령어 # cd [절대경로] 또는 # cd [상대경로]를 사용해야 합니다. 절대경로 : /(루트 디렉토리)에서부터 전체경로를 다 입력하는 것 상대경로 : 현재 있는 디렉토리를 기준으로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상대적인 위치를 말합니다. (파일안에 하위 디렉토리 이동으로 보통 사용) 디렉토리 이동 명령어를 통해.. 2020. 10. 30. [Linux] 리눅스 구성 & 파일 종류와 디렉토리 구조 ○ 리눅스 파일의 종류 ▷ 일반 파일 (-) - 일반 파일은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주로 사용 - 각종 텍스트 파일, 실행파일, 이미지 파일 등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파일은 일반 파일입니다. - 실행 또는 이미지 파일 같은 경우 데이터가 바이너리 형태로 저장되어 바이너리 파일이라고도 합니다. - 실행 파일 or 이미지 파일의 경우 데이터가 바이너리(이진) 형태로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텍스트 파일 읽을 때 처럼 vi나 cat 명령어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예시 한번씩 확인해보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아래 화면처럼 제가 2개의 표본을 들고왔습니다. /bin 파일안에 있는 mount, yum입니다. 둘 다 '-'로 일반 파일 형태 입니다. 둘 다 명령어로 사용하는 일반 파일입니다. mount는 붉은 색을 띄.. 2020. 10. 2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