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령어4 [Linux] 파일, 디렉토리 관련 기본 명령어 ② ○ 파일, 디렉토리 관련 명령어 모음 여기서는 아주 간단하게 사용법을 기입할 것입니다. 기본 명령어라 사용법만 알아도 거의 다 쓸 수 있습니다. 몇 가지들은 자세히 알아야 하는 명령어도 있습니다. 자세한 것은 공부하면서 디테일하게 배워야 할 명령어들만 배우시면 됩니다. ※ 모든 명령어는 옵션을 써도 되고 안써도 됩니다. (예외로 가끔 꼭 옵션을 써야하는 명령어가 있지만 거의 없습니다.) ● pwd (print working directory) ▷ 현재 위치한 작업 디렉토리의 경로 출력 (본인 위치 출력) 사용법 # pwd 그냥 단일로 사용 ● cd (change directory) ▷ 디렉토리 이동하는 명령어 (다른 디렉토리(윈도우-폴더)로 이동) 사용법 # cd [이동할 경로] 경로 쓰는 방법 : 절대.. 2020. 12. 8. [Linux] 파일 시스템 포맷(mkfs, mke2fs) & mount 명령어 ④ ○ 파일 시스템 포맷 파일 시스템에 관련된 내용은 it-serial.tistory.com/48 참조하시면 됩니다. ▷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 파일 시스템을 구축하는 작업 ▷ 포맷시에 파일 시스템을 선택하고, 선택된 파일 시스템이 구축됩니다. ▷ 일반적으로 포맷을 하면 데이터가 지워지고 새로운 파일 시스템이 적용되지만, 운영체제에 따라 데이터는 보존하고 파일 시스템만 변환시킬 수도 있다. ● 파일 시스템 포맷하는 명령어 명령어 형식은 아래와 같이 2개입니다. # mkfs.[파일 시스템] [옵션] [디스크 파티션] # mkfs -t [파일 시스템] [옵션] [디스크 파티션] 옵션 -t [파일 시스템] : type, 파일 시스템 타입은 [ ]다 라는 뜻, 무조건 같이 쓰는 세트다. -f : force, .. 2020. 11. 29. [Linux] 네트워크 관련 용어 (+VMware설치용어) & Run level 리눅스에서 사용 가능한 프로토콜은 /etc/protocols 파일을 보시면 확인 가능 TCP 또 는 UDP에 의해 전송 가능한 네트워크 서비스들은 /etc/services 파일을 보시면 확인 가능 네트워크 목록에서 더 자세한 설명을 할 예정입니다. 아주 간단하게 설명할 예정입니다. 여기서는 리눅스를 사용하는데 지장없이 개략적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 네트워크 관련 용어 ▷ 프로토콜(protocol) : 통신규약, 네트워크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여러 가지 통신 약속을 뜻 ▷ TCP : 신뢰할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 ▷ UDP : 신뢰할 수 없는 통신 프로토콜 ▷ IPv4 : 32비트, 컴퓨터에 부여할 네트워크 주소에 대한 약속 (보통 이걸 공부합니다.) IPv6 : 128비트, 컴퓨터에 부여할 네트워크 .. 2020. 11. 21. [Linux] 패키지 설치 RPM and YUM & wget 레드헷 계열 대표 CentOS에서 패키지를 설치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YUM이 나오기 전에 RPM을 대부분 사용했습니다. 지금은 YUM을 많이 사용합니다. 훨씬 편리합니다. 그러나 YUM뿐 아니라 RPM도 꼭 배워야 합니다. (이유는 YUM설명에서 하겠습니다.) ○ RPM ▷ Redhat Package Manager ▷ 확장자명 *.rpm ▷ 의존성 때문에 조금 불편할 수 있음 (이전글을 보시면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 리눅스 설치 시 iso파일에 기본적으로 대부분의 패키지들이 존재 ▷ 패키지만 있으면 설치 가능, 인터넷 유무 상관없음 ● RPM 명령어 사용법 & 옵션 종류 # rpm [필수옵션 + 부가옵션] [패키지명] # rpm -ivh [패키지명] : 설치 시 자주 사용하는 .. 2020. 11. 1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