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 통신2 [Linux] DNS 개념, 원리 & Gateway(게이트웨이) 1. Gateway 모든 네트워크의 연결점이라고 할 수 있다. 통신을 하려면 필수이다. 정말 중요합니다. ▷ 관문 역할이라고 볼 수 있다. 통로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검문소 역할도 한다. ▷ 특정네트워크 gateway는 그 네트워크의 시작점이라고도 할 수 있다. 보통 gateway 주소를 잡을 때 끝자리를 1번으로 잡는 경우가 많다. (예시 IP xxx . xxx . xxx . 1) ▷ gateway는 라우터의 인터페이스 주소이고, 라우터를 의미하기도 한다. 라우터는 다른 IP 네트워크를 서로 통신하게 해주는 것이다. ▷ 인터넷 공유기를 사용한다면 가장 가까운 gateway가 공유기가 된다. gateway 역할을 하는 라우터에도 고유한 IP주소가 있어야 그 IP주소를 토대로 다른 네트워크로 갈 수 있다... 2020. 10. 18. [Linux] 네트워크 설정 & 외부 통신 해결 1. 네트워크 설정 네트워크가 연결되지 않을 경우 (외부로 핑을 보냄으로써 통신이 되는지 확인합니다.) ▷ 네트워크 구성정보가 정확한지 확인합니다. (설정파일) ▷ Default Gateway 가 제대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합니다. 설정에 앞서 본인이 연결한 네트워크 이름을 확인하세요. # ifconfig 명령어를 입력하면 네트워크 이름이 나옵니다. Network 설정 파일 #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3 // ens33은 본인 네트워크명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아래에 모든 것이 나와있을 수도 있고, 일부 없을 수도 있습니다. 기본적인 구동에는 몇가지만 필요합니다. 필요한 경우에는 추가로 입력하시면 됩니다. DNS1,2= 도 별도로 입력 가능합니다. (DN.. 2020. 10. 1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