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 권한2 [Linux] 특수 권한 ② setUID, setGID, Sticky Bit, 파일 속성(chattr) 특수 권한을 공부하시기전에 기본 권한에 대해 먼저 공부하신 후에 보시길 바랍니다. setUID, setGID, Sticky Bit 3가지 특수 권한은 모두 실행 권한에 관려되어 있는 개념입니다. 파일 실행에 관련된 기능으로 사용되고, 표기도 실행자리에 나타납니다. 간단하게 표기방법만 보고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setUID를 파일에 설정하면 user 권한에 x대신 s가 들어갑니다. setGID를 파일에 설정하면 group 권한에 x대신 s가 들어갑니다. Sticky Bit를 파일에 설정하면 other 권한에 x대신 t가 들어갑니다. ※ 7777권한이란 기존에 777(rwxrwxrwx)권한에 특수권한을 추가로 준 것입니다. setUID(4000) + setGID(2000) + Sticky Bit(1000).. 2020. 11. 25. [Linux] 특수 권한 ① sudo(+ 설정법), umask 간단하게 기초 특수 권한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sudo ▷ superuser do 약자 ▷ root 권한을 빌려서 명령어를 실행하게 해주는 명령어 ▷ 관리자 권한을 얻는 것이므로 아무에게나 주면 보안상 굉장히 취약 ▷ 윈도우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 리눅스 sudo ▷ 일반 유저가 사용하려면 /etc/sudoers 설정 파일에 등록을 해야 명령어 사용 가능 ● sudo 설정 파일 # vi /etc/sudoers 명령어로 파일 수정 모드로 들어가줍니다. # :set nu 명령어로 보기 쉬게 줄 번호를 달아줍니다. 100번째 줄을 보시면 sudo 사용 시 root는 superuser의 권한 가진다. 107번째 줄을 보시면 wheel 그룹이 sudo 사용 시 superuser의 권한을 가진다. .. 2020. 11. 2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