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f2

[Linux] df 명령어 & 마운트 자동 등록(fstab) & UUID란? ⑤ ● df 명령어 (disk free) # df [옵션] [경로] : 현재 마운트 된 디스크 (크기, 사용량 등)정보 출력하는 명령어 (옵션, 경로 둘다 안적어도 명령어 실행 가능) (옵션, 경로 안쓰고 사용 시에 모든 디스크 공간을 보여줍니다.) 옵션 종류 (옵션은 더 있지만 자주 사용하는 것만 적었습니다.) -a : 모든 파일 시스템을 출력 -h : 사람이 보기 좋게 출력 -i : I-node의 용량정보를 표시 -t [파일 시스템] : 입력한 파일 시스템의 디스크만 출력 시작 전에 참고로 이전 글보고 오신분들은 보시면 됩니다. 필자는 umount로 마운트 해제한 Mount_xfs를 다시 마운트를 시킨 상태에서 아래 과정을 시작하겠습니다. ○ 마운트 과정 (디스크 공간 확인, 자동 마운트 설정) 이전 글.. 2020. 11. 30.
[Linux] 마운트 파티션 나누기 & fdisk명령어 ③ ○ 파티션(partition)란 ? ▷ 물리적인 디스크를 논리적인 공간으로 나누어서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 ▷ 주 파티션, 확장 파티션, 논리 파티션 3가지가 존재 ▷ 각 파티션마다 파일 시스템을 포맷해야 합니다. (각 파티션마다 각자 파일 시스템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뜻) ● 파티션 설정 ▷ 연속된 저장 공간을 하나 이상의 독립된 영역으로 나누어 사용할 수 있도록 정의한 규약 ▷ 주 파티션 (Primary partition) - 최대 4개까지 생성 가능 - 파티션 번호 1 ~ 4 ▷ 확장 파티션 (Extended partition) - 파일 저장 용도 x (논리 파티션을 생성하기 위한 공간) - 파티션 번호 1 ~ 4 ▷ 논리 파티션 (Logical partition) - 주 파티션과 같.. 2020. 11.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