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amba2

[Linux] Samba서버 Window < = > Linux ② CentOS 7 버전, 그래픽은 GUI 환경으로, root(관리자)계정으로 실행하였습니다. 관리자 계정으로 실행하시는게 아니라면 명령 앞에 sudo를 사용해주셔야 합니다. ○ 시작 전 설정 과정 이전 글에서 어떻게 설정을 마무리 지었는지 살짝 정리하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samba 서버 설치 후 설정 파일 설정 내용 samba 전용 계정도 2개를 만들었습니다. (user1, user2) 하지만 설정 파일 내용에는 접근 가능한 계정은 user1 쓰기(수정)이 가능하고, 공유 디렉토리 위치는 /smdir로 설정을 해놓았습니다. 공유 디렉토리 권한도 777로 변경해놓았습니다. 접속할 수 있게 방화벽 서비스에 samba추가, selinux 비활성화를 설정하였습니다. ○ 윈도우에서 리눅스로 접속 하는 방.. 2020. 12. 24.
[Linux] 리눅스 윈도우 파일 공유 Samba서버 설치 & 설정 ① ● 진행 과정 (목 차) ● 삼바 서버 개념 & 설치, 삼바 설정 파일, 삼바 계정만들기, 공유 디렉토리 생성, 방화벽 설정 ① 윈도우에서 리눅스 접속 방법, 리눅스에서 윈도우 접속 방법 ② ○ Samba 란? ▷ SMB/CIFS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다시 구현한 자유 소프트웨어 ▷ 마이크로소프트와 인텔에서 개발한 리눅스와 윈도우의 파일 시스템 공유를 위해 만든 프로그램 ▷ 삼바를 통해 리눅스 서버를 윈도우에서 파일 및 프린터 자원을 공유할 수 있는 파일 서버 (반대도 가능) (윈도우를 사용하는 곳에서 리눅스 or 유닉스 서버 접속하여 파일 및 프린터 공유) ▷ 삼바는 일종의 공유 폴더라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삼바가 편리하긴 하지만 보안이 중요한 회사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sftp를 이용해서 파.. 2020. 1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