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yum2

[Linux] yum으로 Tomcat 설치 & 환경변수 설정 (+alternatives) Tomcat은 JSP페이지의 실행환경을 제공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AS)입니다. Tomcat서버를 설치하고, JDK도 같이 설치해야합니다. JSP를 사용하기 위해서 설치를 해줘야합니다. Tomcat 파일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방법 참조하시면 됩니다. yum으로 JDK설치하는 방법 참조하시면 됩니다. 환경변수 설명 참조하시면 됩니다. 여기서는 yum으로 Tomcat을 설치할 예정입니다. JDK는 오라클에서 다운로드 하겠습니다. CentOS 7 에서 실행하였습니다. 그래픽 환경은 GUI모드 입니다. yum으로 설치하는 이유는 중요 인프라를 직접 소스를 컴파일해서 사용하는 방법도 있으나 직접 소스를 컴파일 하는 방법은 버그나 취약점도 직접 대응 해야하는 문제가 있어 패키지 설치를 권장합니다. 설치는 ro.. 2020. 12. 19.
[Linux] 패키지 설치 RPM and YUM & wget 레드헷 계열 대표 CentOS에서 패키지를 설치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YUM이 나오기 전에 RPM을 대부분 사용했습니다. 지금은 YUM을 많이 사용합니다. 훨씬 편리합니다. 그러나 YUM뿐 아니라 RPM도 꼭 배워야 합니다. (이유는 YUM설명에서 하겠습니다.) ○ RPM ▷ Redhat Package Manager ▷ 확장자명 *.rpm ▷ 의존성 때문에 조금 불편할 수 있음 (이전글을 보시면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 리눅스 설치 시 iso파일에 기본적으로 대부분의 패키지들이 존재 ▷ 패키지만 있으면 설치 가능, 인터넷 유무 상관없음 ● RPM 명령어 사용법 & 옵션 종류 # rpm [필수옵션 + 부가옵션] [패키지명] # rpm -ivh [패키지명] : 설치 시 자주 사용하는 .. 2020. 11.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