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81 [Linux] systemd(system daemon)관리 (+tomcat 서비스 등록) ○ service 관리란? 서비스 관리는 시작, 중지 등 을 할 수 있습니다. 서버가 실행되면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게 설정 할 수 있습니다. 그런 관리를 하기 위해서 등록을 해야합니다. ○ systemctl 서비스 등록 서비스를 등록하기 위해서 관련된 명령어를 숙지해야 합니다. CentOS 6까지는 /etc/rc.d/init.d 에 서비스 관련 파일들이 존재하고, service 명령어를 통해 제어했다고 합니다. (필자도 CentOS 7 부터 공부를 시작해서 잘모름) CentOS 7부터는 서비스들이 대부분 Unit으로 분리되어있습니다. 이 Unit들은 서비스명.service 라는 파일명을 가지고 있고, systemctl명령어로 제어 가능합니다. systemd의 설정파일들은 /etc/systemd 에 있습.. 2020. 11. 4. [Linux] 권한(허가권, 소유권) ○ 리눅스 권한 관리 ▷ 리눅스는 파일에 권한이 존재한다. ▷ 파일의 권한 3가지(허가권) = 파일의 소유권(User), 소속 그룹(Group), 다른 사용자들(Other) 리눅스에 # ls -l 로 파일들을 자세히 볼 수 있다. 파일들 자세한 설명은 it-serial.tistory.com/20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아래 그림으로 파일에 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맨 앞자리는 파일 타입을 나타내고, 그 뒤부터 3자리씩 묶어 파일 권한을 나타냅니다. ▷ 파일 타입 : 가장 많은 유형 d(디렉토리) -(일반적인 파일, 실행파일 포함)이 있습니다. 그 외에도 l(링크파일), p(파이프 파일), b 와 c(하드웨어와 반응하는 파일)이 있습니다. ▷ 파일 권한 종류 & 의미 파악 파일 일 때(사용 유무) 디렉토.. 2020. 11. 3. [Linux] 그룹 관련 명령어 (+ 계정 생성 관련 설정) ○ 계정 생성 관련 설정 파일 설명 /etc/passwd 안에 계정에 대한 정보를 보는 법은 이전 글에 기재되어있습니다. /etc/passwd 파일은 모든 계정이 읽을 수 있습니다. /etc/shadow 관리자만 사용 가능합니다. /etc/shadow 파일의안에 정보를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비밀번호가 암호화되어 저장이 되어있습니다. 아래의 화면은 # /etc/shadow 파일입니다. 계정ID : 암호화된 비밀번호 : 암호 생성 일자 : 암호 변경 가능 최소 시간 : 유효기간 : 경고 일수 ::: ① 계정 ID -> 계정명 ② 암호된 비밀번호 -> 암호화된 비밀번호 : $ 암호화방식 $ 키 값 $ 키 값 으로 암호화 형식으로 되어있습니다. (처음 생선된 계정은 ! 로 시작되는 암호를 가지고 있습니다. .. 2020. 11. 2. [Linux] 계정 관련 명령어 리눅스 운영체제는 혼자 사용하도록 개발된것이 아니라 여러 사용자가 같이 쓸 수 있도록 개발되어졌습니다. 여러 사용자가 같이 각자 계정을 가지고 사용합니다. 그 사용자들이 중요한 것을 만질수 없도록 관리하는 계정이 있습니다. 그것이 root란 계정이고, 시스템에서 단 한 개만 존재합니다. root계정은 시스템에서 최고관리자입니다. 그래서 root계정은 비밀번호가 유출되지 않도록 주의해야합니다. root계정을 제외한 사용자 계정을 어떻게 만들고 사용하는지를 알아보도록 합시다. (일단, 계정은 root계정으로 전부 실행하겠습니다. 이유는 사용자계정 권한 주는 것을 다하고 자유롭게 사용자 계정을 이용하도록 하겠습니다.) ○ 들어가기 전에 알아야 하는 명령어 # id 현재 사용자의 UID, GID, 그룹정보를 확.. 2020. 11. 1.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