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81 [Linux] ACL 개념 & 설정법(setfacl, getfacl) 리눅스는 대체적으로 서버로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서버로 활용되면 보안을 철저히 해야합니다. 간단하지만 리눅스 서버 보안 관련하여 ACL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 ACL이란 ? ▷ Access Control List 의 약자 ▷ 접근 제어 목록을 설정하는 것 ▷ ACL은 파일과 디렉토리의 확장 속성 중 하나 ▷ chmod 명령어보다 더 다양한 권한에 대해 수행 할 수 있음 chmod 권한 명령어로 user, group, other 이란 한정된 영역에 권한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ACL을 사용하게 되면 user, group, other 권한을 건드리지 않고 특정 사용자에게 권한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etc/passwd란 파일의 권한은 rw- r-- r-- (644) 입니다. 그러면.. 2020. 12. 6. [Linux] Grub(개념+보안 설정) & 응급 복구(root 비밀번호 분실 시) 각 운영체제마다 독자적인 부트로더를 가지고 있습니다. 리눅스에서 쓰이는 부트로더 grub(또는 grub2)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 간단히 알아본 뒤에 오늘 주요 목적인 root비밀번호 잃어버렸을 때 복구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부트로더는 운영체제를 메모리에 올려 부팅을 해주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리눅스 부트로더 Grub ▷ GRUB GRand Unified Bootloader 의 약자 ▷ 대부분의 운영체제에서 사용가능한 GNU프로젝트에서 만든 부트로더 ▷ 대부분의 리눅스 배포판에서 주로 사용 (윈도우도에도 사용 가능) ▷ 최근 CentOS에는 이전Grub보다 향상된 Grub2를 사용합니다. (저는 centos7을 사용하는데 grub2를 사용합니다.) ▷ Grub 부트로더는.. 2020. 12. 5. [Linux] 간단한 쉘 스크립트 작성 (Shell Script) 앞서 쉘을 먼저 공부하셔야 합니다. 쉘에 대해 it-serial.tistory.com/39 참조하시면 됩니다. 쉘로도 간단한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사용하는 방법을 익혀보도록 하겠습니다. ○ 쉘(shell) 프로그래밍이란 ? ▷ 쉘의 내장된 기능을 사용한 프로그램 만드는 것 ▷ 쉘도 함수, 변수, 반복문 등 같은 기능을 가지고 상황에 따라 다르게 처리되는 쉘 스크립트 만들수 있음 ▷ 여러개의 동일한 명령을 반복적으로 실행할 경우 사용 (그 외에도 사용하는 이유는 더 있습니다.) ▷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bash쉘을 이용 (어떤 언어로 작성할지에 따라 파일의 확장자나 내용형식이 바뀜) ○ 쉘 스크립트(Shell Script)란 ? ▷ 리눅스/유닉스 쉘에 의해 실행되도록 설계된 컴퓨터 프.. 2020. 12. 4. [Linux] 압축과 아카이브 (tar, gzip, bzip2, xz) 압축과 관련하여 더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리눅스에서 자주 사용하는 압축도구와 tar명령 사용법에 대해서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파일 묶는것과 압축은 다릅니다.) 보통 패키지로 설치하여 관리를 편하게 사용합니다. 하지만 환경설정을 변경해야 하거나 부득이하게 소스 파일로 설치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한 경우에 이 압축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보통 수동으로 소스 파일을 설치할 때 처음에 할 일이 압축된 프로그램을 푸는 것입니다.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은 C언어로 된 소스파일이 tar형식으로 압축해서 베포됩니다. (소스 프로그램은 GNU 웹사이트나 관련 프로그램 사이트에서 무료로 베포됩니다.) 프로그램은 압축 도구에 따라 각각 다른 확장자가 붙습니다. 그 확장자에 따라 다른 사용법을.. 2020. 12. 3. 이전 1 ··· 4 5 6 7 8 9 10 ··· 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