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할4

[Linux] 리눅스 파일 시스템 & 구조 ① ● 목 차 ● 1. 파일 시스템 & 구조 ① 2. 마운트 과정 (마운트 개념 & 디스크 추가) ② 3. 마운트 과정 (파티션 나누기 & fdisk 명령어) ③ 4. 파일 시스템 포맷(mkfs, mke2fs) & mount명령어 ④ 5. df 명령어 & 마운트 자동 등록(fstab) & UUID란? ⑤ 리눅스의 파일 시스템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리눅스의 파일시스템 구조를 개략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디렉토리 구조도 it-serial.tistory.com/19 참조하시면 됩니다. ○ 리눅스 파일 시스템 구조 ▷ 부트 블록 : 운영체제를 메모리에 올리는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이 있는 영역 ▷ 슈퍼 블록 : 파일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영역 ▷ I-node 리스트 : i-node를 모아놓은 영역.. 2020. 11. 26.
[Linux] '/'안 주요 디렉토리 용도 리눅스는 전부 최상위 디렉토리 인 루트 '/' 안에 들어있습니다. '/' 최상위 디렉토리 바로 안에 들어있는 주요 디렉토리들에 대해 개략적으로 아시면 됩니다. ( '/' 와 /root 와 다릅니다.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리눅스 마스터 1급을 공부하신다면 좀 더 심도 있는 내용을 찾아보시면 됩니다. 하늘색으로 표시되어 있는 디렉토리는 링크되어 있는 파일입니다. 초록색으로 표시되어 있는 디렉토리는 권한이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풀권한인 파일입니다. ● bin ▷ binaries의 약자입니다. ▷ 링크되어 있는 파일로 실제로는 /usr/bin에 존재합니다. ▷ 바이너리 파일(명령어 파일)이 들어있습니다. (컴파일 된 실행 파일들이 들어있습니다.) ▷ 사용자 명령어 디렉토리 ● dev ▷ device의 약자입니.. 2020. 11. 20.
[Linux] 운영체제란 ? 커널(kernel)이란 ? 용어를 정리하지 않아서 처음에 헷갈리는 경우를 대비해 간단하게 설명하겠습니다. 모든 걸 정확하게 알아야 한다는 마음보다 개략적으로 어떻게 되는지 이해하면 공부하기 좋습니다. 제가 만든 그림 보면서 느낌을 아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응용 프로그램은 사용자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운영체제란 ? ▷ OS (Operating System) 으로 불림 ▷ 하드웨어 (cpu, memory(ram), disk, tty)를 관리하고 프로그램을 지원해주는 것 ▷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사람이 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기반 작업을 지원한다고 생각하면 됨 우리는 운영체제 덕분에 어떤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 cpu와 memory가 어떻게 소통하는지 신경안써도 된다. ○ 프로그램이란 ? ▷ 코딩되어 있는 파일을 컴파일해서 실행파.. 2020. 11. 18.
[Linux] JDK, JRE, JVM 이란? 간단하게 아는 만큼만 설명하겠습니다. 자세하게는 좀 어렵습니다. ○ JDK ▷ JDK(Java Development Kit)는 자바 개발 도구의 약자입니다. ▷ JDK는 JRE외에 개발을 위해 필요한 도구(javac, java 등등)을 포함 ▷ 하는 일 중 가장 큰 역할이 컴파일러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javac.exe = java컴파일러 java.exe = JVM 구동 프로그램) 사용자가 java소스(.java)를 만들었다. 기계어로 변경해야 기계가 실행합니다. (.java)는 기계어로 변환하려면 과정을 거쳐야합니다. ↓ 파일을 변환하기 위해 javac.exe가 도와줍니다. (.java) -> (.class) 바이트 코드 파일(.class)로 컴파일 되어 변환 합니다. ↓ 바이트 코드 파일이 실행.. 2020. 10.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