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눅스34

[Linux] NFS 서버 개념 & 구축(설치) 디스크 용량이 지금 현대시대에는 부족한 현상이 거의 없습니다. 옛날에는 서버하나만 구축해도 많은 공간을 차지하여 클라이언트들은 여유 공간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개발한 것이 클라이언트가 서버의 공간을 자신의 자원처럼 사용이 가능하게 만들었습니다. 쉽게 말해 저장 공간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가 NFS 입니다. 리눅스 - 윈도우 파일 서버 구축 : Samba 리눅스 - 리눅스 파일 서버 구축 : NFS 윈도우 - 윈도우 파일 서버 구축 : CIFS ○ NFS 서버란 ? ▷ Network File System 약자 ▷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의 하드 디스크를 내 컴퓨터의 하드처럼 사용하는 것 ▷ 네트워크에 연결된 리눅스끼리 NFS를 통해 파일을 공유 가능 ▷ 공통으로 사용되는 파일이 있으면 .. 2020. 12. 27.
[Linux] 리눅스 원격 접속 telnet 리눅스에 원격 접속하는 방법 1. telnet를 이용한 접속 2. ssh를 이용한 접속 (추천) ○ telnet ▷ 기본적(default)로 23번 포트 사용 ▷ ssh와 ftp의 비해서 보안성이 매우 좋지 않음 ▷ 다른 서비스의 비해 윈도우에서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음 ▷ 정말 급한 상황에서 사용하고, 왠만하면 사용하지 않음 ▷ 일반적으로 root접속 제한 (일반 사용자를 통한 접속) ▷ su- 명령을 통해 관리자 권한을 획득 후 시스템 관리 작업을 할 수 있음 ▷ 보안이 안좋기 때문에 권장하지 않은 서비스 ▷ 윈도우에서는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기능 ● telnet 설치 리눅스 내에서 패키지를 설치를 해야합니다. telnet을 이요하려면 의존성 패키지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yum으로 설치하여 의존성 패.. 2020. 12. 25.
[Linux] 리눅스 윈도우 파일 공유 Samba서버 설치 & 설정 ① ● 진행 과정 (목 차) ● 삼바 서버 개념 & 설치, 삼바 설정 파일, 삼바 계정만들기, 공유 디렉토리 생성, 방화벽 설정 ① 윈도우에서 리눅스 접속 방법, 리눅스에서 윈도우 접속 방법 ② ○ Samba 란? ▷ SMB/CIFS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다시 구현한 자유 소프트웨어 ▷ 마이크로소프트와 인텔에서 개발한 리눅스와 윈도우의 파일 시스템 공유를 위해 만든 프로그램 ▷ 삼바를 통해 리눅스 서버를 윈도우에서 파일 및 프린터 자원을 공유할 수 있는 파일 서버 (반대도 가능) (윈도우를 사용하는 곳에서 리눅스 or 유닉스 서버 접속하여 파일 및 프린터 공유) ▷ 삼바는 일종의 공유 폴더라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삼바가 편리하긴 하지만 보안이 중요한 회사에서는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sftp를 이용해서 파.. 2020. 12. 23.
[Linux] Tomcat(톰캣)과 Eclipse 연동 ② ○ 톰캣 버전 확인 & 톰캣 설치 위치 확인 ● 톰캣 설치 위치 확인 # find / -name tomcat 명령어로 톰캣을 찾아야 합니다. yum으로 설치를 했는가 아니면 홈페이지에서 직접 다운로드 받았는지 등에 따라 다운로드 위치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본인이 어디 설치했는지 알고 있는것이 중요합니다. ● 톰캣 버전 확인 ▷ 방법 1 ServerInfo 클래스 이용하는 방법 # cd [Tomcat 설치되어 있는 디렉토리]/lib 톰캣 설치되어 있는 경로안에 있는 lib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 java -cp catalina.jar org.apache.catalina.util.ServerInfo 이 명령어를 통해 톰캣 8.5버전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방법 2 version.sh 이용하는 방법.. 2020. 12.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