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눅스34

[Linux] 특수 권한 ② setUID, setGID, Sticky Bit, 파일 속성(chattr) 특수 권한을 공부하시기전에 기본 권한에 대해 먼저 공부하신 후에 보시길 바랍니다. setUID, setGID, Sticky Bit 3가지 특수 권한은 모두 실행 권한에 관려되어 있는 개념입니다. 파일 실행에 관련된 기능으로 사용되고, 표기도 실행자리에 나타납니다. 간단하게 표기방법만 보고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setUID를 파일에 설정하면 user 권한에 x대신 s가 들어갑니다. setGID를 파일에 설정하면 group 권한에 x대신 s가 들어갑니다. Sticky Bit를 파일에 설정하면 other 권한에 x대신 t가 들어갑니다. ※ 7777권한이란 기존에 777(rwxrwxrwx)권한에 특수권한을 추가로 준 것입니다. setUID(4000) + setGID(2000) + Sticky Bit(1000).. 2020. 11. 25.
[Linux] 네트워크 관련 용어 (+VMware설치용어) & Run level 리눅스에서 사용 가능한 프로토콜은 /etc/protocols 파일을 보시면 확인 가능 TCP 또 는 UDP에 의해 전송 가능한 네트워크 서비스들은 /etc/services 파일을 보시면 확인 가능 네트워크 목록에서 더 자세한 설명을 할 예정입니다. 아주 간단하게 설명할 예정입니다. 여기서는 리눅스를 사용하는데 지장없이 개략적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 네트워크 관련 용어 ▷ 프로토콜(protocol) : 통신규약, 네트워크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여러 가지 통신 약속을 뜻 ▷ TCP : 신뢰할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 ▷ UDP : 신뢰할 수 없는 통신 프로토콜 ▷ IPv4 : 32비트, 컴퓨터에 부여할 네트워크 주소에 대한 약속 (보통 이걸 공부합니다.) IPv6 : 128비트, 컴퓨터에 부여할 네트워크 .. 2020. 11. 21.
[Linux] '/'안 주요 디렉토리 용도 리눅스는 전부 최상위 디렉토리 인 루트 '/' 안에 들어있습니다. '/' 최상위 디렉토리 바로 안에 들어있는 주요 디렉토리들에 대해 개략적으로 아시면 됩니다. ( '/' 와 /root 와 다릅니다.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리눅스 마스터 1급을 공부하신다면 좀 더 심도 있는 내용을 찾아보시면 됩니다. 하늘색으로 표시되어 있는 디렉토리는 링크되어 있는 파일입니다. 초록색으로 표시되어 있는 디렉토리는 권한이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풀권한인 파일입니다. ● bin ▷ binaries의 약자입니다. ▷ 링크되어 있는 파일로 실제로는 /usr/bin에 존재합니다. ▷ 바이너리 파일(명령어 파일)이 들어있습니다. (컴파일 된 실행 파일들이 들어있습니다.) ▷ 사용자 명령어 디렉토리 ● dev ▷ device의 약자입니.. 2020. 11. 20.
[Linux] 그래픽 환경 CLI, TUI, GUI란? (+ CLI → GUI 바꾸는 법) 보통 윈도우에 GUI 가 특화되어 있고, 리눅스는 TUI 또 는 CLI에 특화된 운영체제다. ○ CLI 란 ? ▷ Command Line Interface ▷ 명령어를 줄로 입력하여 소통(상호 작용)한다 라는 뜻을 가집니다. ▷ 운영체제안에 있는 쉘이 가지고 있는 특정 명령어를 통해 운영체제를 컨트롤 합니다. ▷ 윈도우에 'cmd' 나 리눅스에 '터미널'이 대표적이다. ▷ 키보드 + 명령어 사용 가능 ○ TUI 란 ? ▷ Text User Interface ▷ 글로 사용자가 소통(상호 작용)을 한다 라는 뜻을 가집니다. ▷ 리눅스 안에 'vi(vim) 편집기'가 대표적입니다. ▷ CLI와 비슷하지만 다릅니다. 명령어를 사용해도 전혀 안됩니다. 메모장과 비슷합니다. 메모장과 다른점은 키보드로만 컨트롤 할 .. 2020. 11.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