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눅스 각 파트별로 중요하고 자주 사용하는 위주로 기초 정리 해놓았습니다.
▷ 상세하고 아주 전문적인 지식은 기본을 다 익히고 어느 정도 리눅스에 자리를 잡으시고
공부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ssh 서버(putty)사용 하시면 수월합니다.
▷ 혹시 링크가 접속이 되지 않는 경우에 사이트 파일 목록을 참고하셔서 이용하시면 됩니다.
(댓글 달아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1-1. 리눅스 VMware 설치 & 리눅스 그래픽 환경 & 네트워크(+VMware설치) 용어
▷ 리눅스 VMware 설치 it-serial.tistory.com/2 참조하시면 됩니다.
▷ 리눅스 그래픽 환경 it-serial.tistory.com/41 참조하시면 됩니다.
▷ 네트워크(+VMware설치)용어 & Run level it-serial.tistory.com/43 참조하시면 됩니다.
1-2. 네트워크 설정 & 외부 통신 해결 & SSH 서버 설치 & Putty 다운 & 접속
▷ 네트워크 설정 & 외부 통신 해결 it-serial.tistory.com/7 참조하시면 됩니다.
▷ SSH 서버 설치 it-serial.tistory.com/4 참조하시면 됩니다.
▷ Puttu 다운 & 접속 it-serial.tistory.com/5 참조하시면 됩니다.
2. 리눅스 파일 수정 (vi/vim 기능) & vi 필수 명령어
▷ it-serial.tistory.com/23 참조하시면 됩니다.
3-1. 리눅스 구성 & 파일 종류와 디렉토리 구조 & 주요 디렉토리 역할 & 링크 파일
▷ 리눅스 구성 & 파일 종류와 디렉토리 구조 it-serial.tistory.com/19 참조하시면 됩니다.
▷ 주요 디렉토리 역할 it-serial.tistory.com/42 참조하시면 됩니다.
▷ I-node & 링크파일 & 파일 이름 it-serial.tistory.com/44 참조하시면 됩니다.
3-2. 파일 정보 확인 & 기본적인 파일 관련 명령어 & 파일 찾기 (find, which 등)
▷ 파일 정보 확인 it-serial.tistory.com/20 참조하시면 됩니다.
▷ 기본적인 파일 관련 명령어 it-serial.tistory.com/22 참조하시면 됩니다.
▷ 파일 찾기(find, which, whereis, locate) it-serial.tistory.com/3 참조하시면 됩니다.
4. 리눅스 관련 명령어 &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모음
▷ 명령어 특징 & tab기능 & 종료, 재부팅, 콘솔 명령어 it-serial.tistory.com/59 참조하시면 됩니다.
▷ 파일, 디렉토리 관련 명령어 it-serial.tistory.com/60 참조하시면 됩니다.
▷ 편집(+쉘)관련 명령어 1탄(cat, 리다이렉션, clear, echo 등) it-serial.tistory.com/61 참조하시면 됩니다.
▷ 편집(+쉘)관련 명령어 2탄(특정 라인 출력, sed, awk 등) it-serial.tistory.com/62 참조하시면 됩니다.
▷ 편집(+쉘)관련 명령어 3탄(역 따옴표, 작은 따옴표, 큰 따옴표, cut 등) it-serial.tistory.com/63 참조하시면 됩니다.
▷ 다중 명령어 |, ||, &, &&, 리눅스 하면서 자주 사용하게 되는 명령어) it-serial.tistory.com/64 참조하시면 됩니다.
▷ 필터 명령어 grep, 정규표현식, 메타 문자 it-serial.tistory.com/65 참조하시면 됩니다.
5. 계정 관련 명령어 & 그룹 관련 명령어 & 권한(허가권, 소유권)
▷ 계정 관련 명령어 it-serial.tistory.com/24 참조하시면 됩니다.
▷ 그룹 관련 명령어(+계정 생성 관련 설정) it-serial.tistory.com/25 참조하시면 됩니다.
▷ 권한(허가권, 소유권) it-serial.tistory.com/26 참조하시면 됩니다.
6-1. 특수 권한 [sudo(+설정), UMASK, setUID, setGID, Sticky Bit], 파일 속성(chattr)
▷ 특수 권한① sudo, UMASK it-serial.tistory.com/46 참조하시면 됩니다.
▷ 특수 권한② setUID, setGID, Sticky Bit, chattr it-serial.tistory.com/47 참조하시면 됩니다.
6-2. (파일 속성(권한)) ACL 개념 & 설정법 (setfacl, getfacl)
▷ ACL 개념 & 설정법 (setfacl, getfacl) it-serial.tistory.com/58 참조하시면 됩니다.
7-1. 리눅스에서 프로그램 설치 방법과 차이 & 패키지 설치 RPM and YUM & wget
▷ 프로그램 설치 방법과 차이 it-serial.tistory.com/36 참조하시면 됩니다.
▷ 패키지 설치 RPM and YUM & wget it-serial.tistory.com/37 참조하시면 됩니다.
7-2. 패키지 설치 확인 & 압축과 아카이브 (tar, gzip, bzip2, xz)
▷ 패키지 설치 확인 it-serial.tistory.com/3 참조하시면 됩니다.
▷ 압축과 아카이브 (tar, gzip, bzip2, xz) it-serial.tistory.com/55 참조하시면 됩니다.
8. 방화벽 & 포트 (+추후 더 작성 예정)
▷ it-serial.tistory.com/6 참조하시면 됩니다.
9. service 설정 & 관리, systemctl 명령어 & 프로세스 상태 확인
▷ service 설정 & 관리 it-serial.tistory.com/27 참조하시면 됩니다.
▷ systemctl 명령어 & 프로세스 상태 확인 it-serial.tistory.com/28 참조하시면 됩니다.
▷ 프로세스란? 데몬 vs 서비스? it-serial.tistory.com/29 참조하시면 됩니다.
10-1. 파일 시스템 & 구조, 마운트 과정(디스크 추가), 마운트 과정(파티션 나누기)
▷ 파일 시스템 & 구조① it-serial.tistory.com/48 참조하시면 됩니다.
▷ 마운트 과정(디스크 추가)② it-serial.tistory.com/49 참조하시면 됩니다.
▷ 마운트 과정(파티션 나누기 & fdisk명령)③ it-serial.tistory.com/50 참조하시면 됩니다.
10-2. 파일 시스템 포맷 & mount 명령어, df명령어 & 마운트 자동 등록(fstab)
▷ 파일 시스템 포맷 & mount명령어④ it-serial.tistory.com/51 참조하시면 됩니다.
▷ df명령어 & 마운트 자동 등록(fstab) & UUID란?⑤ it-serial.tistory.com/52 참조하시면 됩니다.
10-3. Swap이란 ? (+CPU, RAM, 하드디스크) & Swap 생성 & 공간(용량) 늘리는 법
▷ Swap이란 ? (+CPU, RAM, 하드디스크) it-serial.tistory.com/53 참조하시면 됩니다.
▷ Swap 생성 & 공간(용량) 늘리는 법 (/dev/null, /dev/zero) it-serial.tistory.com/54 참조하시면 됩니다.
11. Grub(개념+보안 설정) & 응급 복구(root 비밀번호 분실 시) & 리눅스 부팅 과정
▷ Grub(개념+보안(암호) 설정) & 응급 복구(root 비밀번호 찾기) it-serial.tistory.com/57 참조하시면 됩니다.
▷ 리눅스 시스템 부팅 과정 it-serial.tistory.com/67 참조하시면 됩니다.
12. SELinux 개념, 설정
▷ SELinux 개념+관련 명령어(chcon, setenforce 등) it-serial.tistory.com/66 참조하시면 됩니다.
13-1. 쉘(Shell) & alias등록 & 운영체제란? 커널(kernel)이란? & 쉘 스크립트 작성
▷ 쉘(Shell) & alias 등록 it-serial.tistory.com/39 참조하시면 됩니다.
▷ 운영체제란? 커널(kernel)이란? it-serial.tistory.com/40 참조하시면 됩니다.
▷ 쉘 스크립트 작성 it-serial.tistory.com/56 참조하시면 됩니다.
13-2. 환경변수 & Java, Tomcat 환경 변수 설정 이유
▷ 환경변수 & Java, Tomcat 환경변수 설정 이유 it-serial.tistory.com/38 참조하시면 됩니다.
댓글